SAP Yong Next Cloud Academy

SAP SYNC 1~2일차 영수증ERD 및 Table, DD와 DE

秀韩 2022. 6. 21. 21:31

SAP SYNC 1~2일차 작업물

1-1. 영수증 ERD

ERD_1 (공간을 좀 더 주는게 깔끔한 것 같다.)

실선 :

  • 부모테이블의 PK가 자식테이블의 FK/PK가 되는 경우
  • 부모가 있어야 자식이 생기는 경우

점선 :

  • 부모테이블의 PK가 자식테이블의 일반속성이 되는 경우
  • 부모가 없어도 자식이 생기는 경우

|: 1개 / 실선은(dash) ‘1'을 나타낸다.

∈ : 여러개 / 까마귀 발(crow’s foot or Many)은 ‘다수' 혹은 '그 이상'을 나타낸다.

○ : 0개 / 고리(ring or Optional)은 ‘0'을 나타낸다.

1-2. 영수증 ERD Table

ERD_2

2. DD(Data Domain), DE(Data Element)

DD, DE (영수증을 정리, Field를 잘못썼다.)

DD(Data Domain) : 필드의 기술적 속성을 정의하는 Dictionary 개체. DE에 할당되어 사용되며, DE는 테이블의 필드, 프로그램 안에서 변수로 사용되게 된다.

(쉽게 말해 수정작업을 편하게 하기위해 사용하는 느낌.)

(인용: [SAP ABAP 강좌 1] 도메인 (Domain) - 나와 함께 SAP질을 (tistory.com))

DE(Data Element) : -

(쉽게 말해 세분화 해주는 느낌.)


어려웠던 점)

 DE가 이해하기 힘들었다. 아직도 이해 안간다. 일단 DE를 직접 작성해보니까 3단계로 나눠서 정리하는 느낌이었다. [DD{DE(field)}]의 느낌.

1. FieldName과 DE가 같은 DD에 할당되며

2. DE는 이전에 다른 FieldName을 사용함.

3. 다음 FieldName과 DE가 이름은 다르지만 같은 것을 가리킬 때

4. 전에 사용했던 DE를 다시 사용했다.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이렇게 사용했다.

 

재밌었던 점)

 조원 분들과 함께 생각하는 시간이 재밌었다. 근데 그 분들은 내가 재미 없었을지도... 쨌든, 고민하여 개체를 정하고 인스턴스를 넣으면서 PK, FK를 맞춰가는 것이 재밌었다. 

'SAP Yong Next Cloud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SYNC TAW10(2)  (0) 2022.06.28
SAP SYNC TAW10(1)  (0) 2022.06.27
SAP SYNC 5일차 BC100(3) 및 실습물  (0) 2022.06.26
SAP SYNC 4일차 BC100(2)  (0) 2022.06.23
SAP SYNC 3일차 BC100(1)  (0) 2022.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