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Yong Next Cloud Academy

SAP SYNC TAW10-3(2)

秀韩 2022. 7. 7. 21:45

1. Creating Transparent Tables

Transparent Table : 아밥 딕셔너리 안에 하나의 테이블이 실제 DB에서도 1:1 관계로 존재하는 테이블. PK가 설정되어 있는 필드들이 Key Fields, 나머지를 Function Fields라 부름. 

1-1. Include Structures

ㄱ. 구조체를 하나 만든다.

ㄴ. .Include 작성 후 구조체를 DE에 선언.

ㄷ. initi..(initial values) : 값이 없을 경우 기초 값을 넣을 것인지 여부 확인. 체크한다면 안 한다는 것.

 

 

1-2. Data Class

ㄱ. standard table 시에는 master data 등 나눠서 저장하지만, 실습은 대부분 user, user1에 저장한다.

ㄴ. size category : 데이터가 다 찼을 경우, 알아서 용량을 늘려준다. 

2. Table Buffering

buffer meaning
Full Buffering 테이블 내용 전체를 버퍼에 넣음.
Generic Buffering 키에 맞는 것들을 전부 저장.
Single-Record Buffering 조건에 해당하는 하나만 버퍼에 저장.

ㄱ. Number of key fields : Number of key fields to be considered for generic buffering. The number entered must be at least 1 and less than the number of key fields.

ㄴ. Single-Record Buffering은 테크니컬 세팅에서 복수 개 설정이 가능하다 한다.

2-1. Buffer Synchronization

ㄱ. application Server 2개에서 버퍼 사용 시(select), Synchronization Table을 이용함.

ㄴ. application Server 1에서 데이터가 수정 되었을 경우 Synchronization Table에서 관할, 바뀐 데이터를 DB에 저장.

ㄷ. application Server 2에서 버퍼를 사용할 때 Synchronization Table를 확인, 내용이 수정 되었다면 application Server 2의 버퍼를 전부 삭제하고 DB에서 다시 받아옴.

 

3. Input Checks

3-1. creating fixed values

ㄱ. 도메인 벨류 레인지에서 설정.

 

ㄴ. 셀렉션 스크린에서 F4(value help)로 확인 가능.

 

3-2. Value Table

value table

ㄱ. Fixed value를 테이블 형태로 생성, 저장.

ㄴ. value table에 선언.

value table의 데이터
value help

 

3-3. Foreign key

foreign key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 간의 연결을 정의하며,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ㄱ. foreign key table : foreign key field가 포함된 테이블.

ㄴ. check table : 외래 키와 연결된 키 필드가 포함된 테이블. 

ㄷ. 양쪽의 키 필드는 동일한 도메인을 가지고 있어야 함. 

ㄹ. 외래 키로 연결하기 전 양쪽 필드는 모두 도메인의 벨류 테이블을 가리키고 있다. 둘 다 F4 확인 시 도메인의 벨류 테이블 값을 보여준다.

 

ㅁ. 외래 키를 생성하면 외래 키 필드가 체크 필드를 가리킨다. 체크 필드는 F4 확인 시 도메인의 벨류 테이블의 값을 보여주지만, 외래 키 필드는 체크 필드에서 삽입해둔 값을 보여준다.  (벨류 테이블에 AA부터 UA까지 있다면, 체크 테이블엔 AA부터 AC까지 입력했다.)

 

ㅂ. 체크 테이블은 벨류 테이블의 범위를 좁혀준다. 

ㅅ. 체크 테이블과 벨류 테이블은 다른 것이라고 알 수 있다. 

 


여기서부터 일기) 오늘 내가 이해한 부분은 여기까지인데, 이게 맞는 건지 틀린 건지 잘 모르겠다. 오늘 실습 내용은 도메인 지정에 DE지정, 딕셔너리에 테이블 생성 후 프로그램으로 테이블에다가 데이터 삽입 정도라 올릴만한 게 없었다. 나머지는 이론 설명에 외래 키 설명. 머리 아프다.

'SAP Yong Next Cloud Acade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SYNC TAW10-4(1)  (0) 2022.07.11
SAP SYNC TAW10-3(3)  (0) 2022.07.08
SAP SYNC TAW10-3(1) 및 개인 과제  (0) 2022.07.06
SAP SYNC TAW10-2(2)  (0) 2022.07.05
SAP SYNC 2주차 개인과제  (0) 2022.07.03